보안을 생각한다면 SSH 접속하는 포트정도는 변경해도 좋다고 생각한다.

 

아래와 같이 sshd_config 에 들어가서 Port 를 검색 후 (기본적으로 주석처리)

원하는 포트를 추가하면 된다.

1
2
3
$ vim /etc/ssh/sshd_config
 
Port 1234
cs

변경했다고 바로 세션을 끄고 다시 접속해 보는 멍청한 짓은 하지말자!

방화벽에서도 해당 포트를 접속할 수 있게 허용해 주는건 기본이다.

'기억할것들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로그인 배너, 메세지 출력  (0) 2020.05.06
autoconf 업데이트  (0) 2019.12.10
서비스 자동실행 등록하기  (0) 2019.08.22
libzip 최신버전 설치하기  (0) 2019.07.02
SSH root 원격 접속 제한 하기  (0) 2019.07.01

리눅스 개발자 또는 SE 라면 원격으로 항상 터미널에 붙어서 살아야 한다.

그리고 슈퍼유저! root권한으로 참 많은 일을 한다.

 

그런데 말 그래도 이 root 란, 굉장히 많은 권한을 가진 만큼

적(?) 에게 노출되면 굉장히 피를 볼수도 있는 양날의 검 같은 존재이다.

 

root 의 비밀번호를 복잡하게 만들수도 있을 것이고, 

SSH 를 특정 IP 에서만 접속하게 만들수도 있을것이고,

root 를 key 로만 접속하게 만들수도 있겠지만,

 

나는 2차 보안의 갬성으로 ssh 는 사용자 id 로 key 로만 접속하고,

root 는 그후에 접속되도록 하고 싶다.

 

사실 방법은 매우 간단하니까.

 

1) 사용자 계정을 key 로 접속하게 하는 방법은 요기로

 

SSH 공개키 등록하기.

SSH 공개키 등록하기는. client -> server 로 엑세스 할 때 비밀번호를 묻지 않게 할 경우 보통 사용된다. 주로, git/svn 의 Remote Repository 연결, RSync 등의 작업을 SSH 포트를 사용 때, ssh 로 자주 접근해..

www.smarthink.co.kr

 

2) 사용자 계정을 하나 만들고 1)의 진행이 완료 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하자,
    (ssh_config 가 아니다 sshd_config 다. 두개는 다르다!)

1
$ vim /etc/ssh/sshd_config
cs

 

3) sshd_config 파일 안에서 49번 라인을 보면 PermitRootLogin 이라는 부분 이 있다 이 부분을 no로 바꾼다.
   (:set nu 는 라인 번호는 보는 셋팅이다)

1
2
:set nu
PermitRootLogin    no
cs

 

위와 같이 하고 원격지에서 root 로 접속해 보면 비밀번호로는 절대 접속 할수 없다.

혹시 모르니 새로운 터미널 창을 띄우고 원격지에서 접속을 시도해보자

IDC 센터로 뛰어가는 불상사는 일어나선 안된다!

'기억할것들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자동실행 등록하기  (0) 2019.08.22
libzip 최신버전 설치하기  (0) 2019.07.02
증분백업. rsnapshot 사용하기.  (0) 2019.01.11
PEM Key 로 public Key 생성하기  (0) 2018.08.13
Apache HTTPD/2 설정  (0) 2018.05.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