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포스팅은 증분백업이다.

서버관리를 하다보면 백업이 중요하니까, 하지만 풀백업을 하면, 전날의 자료가 없고,

그렇다고 매일매일 풀백업을 하면 디스크가 견디질 못한다.

이럴때 사용하는게 증분백업, 전날 소스와 비교해서 변한 자료만 동기화 한다. 

당연히 용량의 증가도 많지 않다. 


돈주고 솔루션 사 쓸거면 포스팅도 안하겠지. 무료다.

rsync 를 사용한 솔루션 rsnapshot 이다.


1. 리눅스에 rsnapshot 을 yum으로 설치해보자

   아주 간단하게 설치가 된다.


1
$ yum install rsnapshot
cs


2. rnsapshot 설정파일을 간단하게 보도록 한다.


1
$ vim /etc/rsnapshot.conf
cs


   - 23번째 줄, rsnapshot_root : 백업 파일이 저장될 경로

   - 93 ~ 95줄 백업 주기를 설정

      alpha -> beta -> gamma 순으로 동작하며 각각 daliy, weekly, monthly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맨 뒤의 숫자는 보관할 파일의 갯수, 숫자만큼 저장하며 오래된 것부터 삭제한다.

   - 보통 위의 두개 정도만 신경쓰면 된다. 추가적으로 할건 logfile 이나 loglevel 정도..?

   - 설정 파일에 있지만 가장 중요한 backup 경로 설정 방법은 새로 번호를 찍겠다.


3. 백업 스크립트 작성

    conf 파일 내의 225줄 #LOCALHOST 아래 부분부터 보면 된다.


    1) 서버내에서 파일을 백업할때 사용한다. conf 파일 내의 소스가 매우 잘 되어있다.


1
backup    /home/    localhost/
cs


        /home/ 하위에 있는 모든 파일을 /{rsnapshot_root}/localhost 폴더에 저장하겠다는 뜻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저 공백은 꼭 탭으로 해야 한다. 스페이스로 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2) rsync로 외부 서버의 파일 가져오기


1
backup    root@example.com:/home    example.com/    {rsync_option}
cs


rsync 로 example.com 서버의 /home 폴더를  {rsnaphost_root}/example.com/ 하위에 저장한다.

3번째 인자로 rsync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example.com 서버의 rsync 접속 보안에 약간 신경을 써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


   3) backup 스크립트 실행하기

 

1
backup_script    /usr/local/bin/backup_pgsql.sh    localhost/postgres/
cs


sqldump 를 위해 미리 생성해 둔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대충 이정도만 알아도 증분백업을 돌리는데는 문제가 없다.

설정을 완료 했으면 테스트를 해본다


1
2
$ rsnaphost configtest
Syntax OK
cs


위와 같이 뜨면 매우 아름답게 설정은 완료 되었다.


실제로 실행을 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이 한다.


1
$ rsnapshot alpha

cs


위 명령어를 실행하고 기다리면 백업 폴더에 백업 파일이 똭 있다.

그럼 이걸 주기적으로 백업하는 방법은 ???


정답은 크론이다


1
2
3
4
5
$ crontab -e
 
00    01    *    *    *    /usr/bin/rsnapshot alpha
00    01    *    *    1    /usr/bin/rsnapshot beta
00    01    1    *    *    /usr/bin/rsnapshot gamma
cs


크론에 대한 사용법은 대충 알거라 생각하지만... 가볍게 설명하면

인자별로 분, 시, 일, 월, 요일 이다


3번줄은 매일 AM 1:00 에 실행하라

4번줄은 월요일마다 실행하라 (0:일요일 ~ 6:토요일)

5번줄은 1일마다 실행하라 


라는 뜻이다


끝.!


===================================================================================================================================


참고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https://github.com/php79/backup
https://github.com/php79/backup/blob/master/docs/local-incremental-backup.md
https://github.com/php79/backup/blob/master/docs/remote-incremental-backup.md
https://github.com/php79/backup/blob/master/docs/rsnapshot-result.md

'기억할것들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bzip 최신버전 설치하기  (0) 2019.07.02
SSH root 원격 접속 제한 하기  (0) 2019.07.01
PEM Key 로 public Key 생성하기  (0) 2018.08.13
Apache HTTPD/2 설정  (0) 2018.05.24
Apache Log 가상호스트 별로 쌓기  (0) 2017.11.28


RSYNC.

생각보다 많은 곳에 사용하는 기능이다.


백업, 배포, 등등등 생각보다 많은 장소에서 쓰인다.

LINUX 에서 파일을 복사하는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이어받기와 비슷한 느낌의 기능도 되어있기 때문에

(RSYNC 는 Server 와 Client 간 서로 다른 자료만 전달한다)

서버 개발자 또는 관리자라면 굉장히 긴밀하게 사용할 것이다.


RSYNC 를 사용하기 위해선 먼저 xinetd 와 rsync 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RSYNC는 굳이 버전에 큰 차이가 없으니 귀찮으니까 yum 으로 설치하려 한다.


$ rpm -qa | grep rsync
$ rpm -qa | grep xinetd


위 명령어로 설치 여부를 확인 후 없으면 없는 것만 설치하자.

$ yum install rsync
$ yum install xinetd


xinetd 와 rsync 가 설치되었다면, rsync 설치 화면 으로 넘어간다.

$ vim /etc/xinetd.d/rsync


service rsync
{
disable = yes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bin/rsync
server_args = --daemon
log_on_failure += USERID
}

위 파일에 들어가면 아랫줄과 같은 부분이 있는데, disable 부분을 no 로 바꾸고 저장한다.



- SERVER 설정


rsync 는 rsync 포트 (기본 873) 를 사용해 전송하는 방식이 있고,

ssh 포트 (기본 22) 를 사용해 전송하는 방식이 있다.


873 포트를 이용한 전송방식은 아래와 같은 셋팅이 필요하다

$ vim /etc/rsync.conf

max connection = 10
log file = /var/log/rsync.log
timeout = 300

[test]
comment = rsync server test
path = /home/Service/test
read only = no
uid = root
gid = root
hosts allow = 127.0.0.1


맨 위 대괄호로 되어 있는 부분이 rsync 의 프로젝트 명이다.

host allow 는 보안을 위해 있는 부분인데, 입력하지 않으면 전체 오픈된다.

위 셋팅을 완료 후 rsync  서비스를 재시작 한다.


$ /etc/init.d/xinetd restart


위와 같이 생성했으면, client 에서 테스트를 해보자.


$ rsync -avz --progress --delete --exclude 'file_backup.sh' /home/Service/source/ 127.0.0.1::test

위 명령어 중 avz 는

a = archive 모드로 심볼링크, 퍼미션, 소유권 등을 보존

v = 진행상황을 상세히 보여줌

z = 전송 시 압축하여 전송


progress 는 진행상태를 보여주라는 뜻


delete 는 송신측과 수신측을 동일하게 유지 하기 위해 송신측에 없는 정보는 지우라는 명령어

누적 전송을 위해서는 delete 는 빼준다


exclude 는 전송 을 제외하고자 하는 폴더 또는 파일이다.



SSH 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 rsync -avz --progress --delete --exclude 'file_backup.sh' /home/Service/source/ 127.0.0.1:/home/Service/backup

과 같이 맨 뒷부분을 수정해 준다.


끝.


혹시나 open failed : permission denied 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

selinux 쪽을 확인해 보자.


윈도우용으로도 cwrsync 라는 프로그램도 있으나, 현재 해당 프로그램이 유료화 된 상태인지라...

저작권이 두려워 차마 업로드는 못하고.......관심있으신 분은 댓글로 달아주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