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일반 사용자 계정에 root 권한을 부여서

서비스 재시작 등의 작업을 할 필요가 생길 경우가 있다.


그럴 때를 위해 일반 사용자 계정에 root 권한 부여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먼저 root 로 로그인 후 sudo 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rpm -qa sudo

만약 혹시라도 sudo가 없다면 설치하면 되고....

설치후에 아래 파일을 연다.


$ vim /etc/sudoers

자, 편집하려고 보면, 읽기전용 파일을 편집하려고 한다고 뜰 수 있다.

기본 권한이 440 으로 되어있기때문에, 편집 시 640 으로 바꿔주고 편집하도록 한다.


파일을 열고 91번째 쯤 을 가면


root    ALL=(ALL)    ALL
이라는 부분이 있을것이다.

이 아래에 추가하면 된다.

나는 apache 의 사용권한을 줄 예정이다.

{user_id}    ALL={apache 설치경로}/bin/apachectl

정상적으로 저장하고 나서 {user_id} 에 입력한 사용자로 로그인 후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해보자

$ sudo {apache 설치경로}/bin/apachectl restart


이렇게 하면! 자연스럽게 패스워드를 물어본다.

더욱 자연스럽게 사용자 패스워드를 입력해보면

똭.! 아파치가 재시작된다.


하지만 아직 덜 아름답다. 왜 굳이 password 를 입력해야하는가 ?

루트는 안물어보는데 ?


뭐..지극히 OS 단의 보안문제이겠거니 넘어가고 물어보지 않게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user_id}    ALL=NOPASSWD:{apache 설치경로}/bin/apachectl


apache 설치 경로앞에 NOPASSWD: 를 입력해주고

다시 사용자 계정으로 아파치를 재시작해주면

딱! 명확하게 정확히도 아파치가 재시작된다.


이 정도는 되야 아름답지.

SSH 공개키 등록하기는.

client -> server 로 엑세스 할 때 비밀번호를 묻지 않게 할 경우 보통 사용된다.


주로, git/svn 의 Remote Repository 연결, RSync 등의 작업을 SSH 포트를 사용 때,

ssh 로 자주 접근해야 되는데 비밀번호 치기가 너무 귀찮을 때

사용된다고 보면 된다.


자, 먼저 Client 에서 공개키를 가지고 온다.

서버의 경우 접속 계정 루트 폴더의 .ssh 폴더 의 .pub 파일이 있을 것이다.

(만약 Client 가 윈도우면 좀 다른 방법으로 가져와야 한다)


윈도우 : 제타위키 매우 잘 설명된 글


만약 .ssh 폴더에 .pub 파일이 없다면,

~/.ssh 폴더에서 ssh-keygen 을 입력하고 엔터를 친다.

엔터는 한번만 치면 안된다. 계속 쳐야한다. 끝났다 싶을때 까지 엔터를 치도록 한다.


그럼 이제 .pub 파일이 생성 되는데,

.pub 파일의 내용을 쭉 복사한다.


내용을 잘 복사했다면, 이제 Server 로 접속한다.

Server 에서 비밀번호 없이 접속하려고 하는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위와 동일하게 ~/.ssh 폴더로 이동한다.


~/.ssh 폴더를 가면 authorized_keys 라는 파일이 있을것이다.

vi 에디터로 열고, 복사한 공개키를 붙여 넣는다.

저장한다.


※ .ssh 폴더의 권한은 755, authorized_keys 파일의 권한은 644 로 한다 


이제 당신은 굳이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ssh 로 접속할 수 있다.


물론 서버의 authorized_keys 에 공개키가 등록된 클라이언트에 만 이지만...!




현직 게임API 개발자, 겸직 웹개발자, 결국PHP 개발자.

어딘가에 알아냈고, 개발했고, 생각한 것들은 기록해야 한다.

나름 내가 열심히 찾아낸걸 공유하기 위한 목적도 있고....

결국 내가 또 까먹을까봐


웹개발자인 만큼 내홈페이지 를 만들어서 하자!

라고 생각했으나 요리사는 집에서 요리하지 않는다고 했던가. 귀찮다.


블로그나 열심히 써볼란다..!




'본거.느낀거.생각한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캘린더 음력 반복등록  (0) 2018.08.14
부팅 USB 만들기  (0) 2017.12.27
DTS 오디오 방식 인코딩 하기  (0) 2017.12.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