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관련 모듈 설치

1
$ yum install lua-devel libxml2-devel gcc gcc-c++ flex compat-gcc-* libjpeg-devel libpng-devel freetype-devel gd-devel expat-devel
cs

2. libnghttpd2 설치

1
2
$ yum install epel-release
$ yum install --enablerepo=epel libnghttp2 libnghttp2-devel
cs

 

3. openssl 설치 (1.0.1e 버전 이상만 되면 된다) 

1
2
3
4
5
$ ./config --prefix=/usr/local/openssl shared zlib
$ make && make install
$ ln -/usr/local/openssl/bin/openssl /usr/bin/openssl
( 이 작업 전에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파일이 있다면 백업정돈 하자)
$ openssl version
cs

마지막 명령줄을 실행하면 openssl 의 버전이 나오면서 내가 설치한 버전이 잘 설치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설치고 에러가 날 수 있는데, libssl.so.1.1 / libcrypto.so.1.1 이 없다는 ...

위 에러 발생시 openssl 의 압축을 해제 한 폴더를 보면 두 파일이 있다.

/usr/lib64 로 복사하면 정상 실행 된다.

 

4. apr 설치

1
2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cs

만약 configure 하는 도중 libtoolT 가 없다고 하면, ln -s libtool libtoolT 를 한다

 

5. apr-util 설치

1
2
$ ./configure --with-apr=/usr/local/apr --with-expat=builtin
$ make && make install
cs

 

6. pcre 설치 (pcre2를 해선 안된다. pcre2 는 컴파일 시 아파치가 인식하지 못한다)

1
2
$ ./configure --prefix=/usr/local/pcre
$ make && make install
cs

 

7. Apache 설치 (run.sh 와 같은 파일에 작성 후 실행시키면 편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configure \
    --prefix=/apps/httpd-2.4.33 \
    --enable-module=most \
    --enable-mods-shared=all \
    --enable-so \
    --with-mpm=event \
    --enable-cache \
    --enable-deflate \
    --enable-expires \
    --enable-cgi \
    --enable-vhost-alias \
    --enable-rewrite \
    --enable-mime-magic \
    --enable-ssl \
    --enable-http2 \
    --with-ssl=/usr/local/openssl \
    --with-apr=/usr/local/apr \
    --with-apr-util=/usr/local/apr \
    --with-pcre=/usr/local/pcre/bin/pcre-config
cs

 

8. httpd.conf 수정 (HTTP2 사용을 위해서 추가작업이 필요하다)

 

1
2
3
4
5
LoadModule http2_module modules/mod_http2.so
<IfModule http2_module>
    ProtocolsHonorOrder    On
    Protocols h2 h2c http/1.1
</IfModule>
cs

 

9. HTTP2 는 SSL 환경에서만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http-ssl.conf 파일도 수정하도록 한다.

1
2
SSLProtocol    ALL -SSLv2 -SSLv3
SSLCipherSuite    ECDHE-RSA-AES128-GCM-SHA256:ECDHE-ECDSA-AES128-GCM-SHA256:ECDHE-RSA-AES256-GCM-SHA384:ECDHE-ECDSA-AES256-GCM-SHA384:DHE-RSA-AES128-GCM-SHA256:DHE-DSS-AES128-GCM-SHA256:kEDH+AESGCM:ECDHE-RSA-AES128-SHA256:ECDHE-ECDSA-AES128-SHA256:ECDHE-RSA-AES128-SHA:ECDHE-ECDSA-AES128-SHA:ECDHE-RSA-AES256-SHA384:ECDHE-ECDSA-AES256-SHA384:ECDHE-RSA-AES256-SHA:ECDHE-ECDSA-AES256-SHA:DHE-RSA-AES128-SHA256:DHE-RSA-AES128-SHA:DHE-DSS-AES128-SHA256:DHE-RSA-AES256-SHA256:DHE-DSS-AES256-SHA:DHE-RSA-AES256-SHA:!aNULL:!eNULL:!EXPORT:!DES:!RC4:!3DES:!MD5:!PSK
cs

 

10. 서비스 등록하기

1
2
3
$ cp {설치폴더}/bin/apachectl /etc/init.d/httpd
$ service httpd start
$ service httpd stop
cs

 

위 설정까지만 해도 충분히 아파치는 잘 동작한다.

단, PHP 와 연결을 위한 설정 몇개를 더 쓴다

 

11. httpd.conf 에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IfModule dir_module>
    DirectoryIndex index.php index.html
</IfModule>
 
<IfModule mime_module>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phtml
    AddType application/x-httpd-php-source .phps
</IfModule>
 
<Directory "/home/*">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All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Require all granted
</Directory>
cs

 

서비스 자동 실행 등록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면 #여기로

MAC 에서도 개발작업을 하다보면 Host 설정을 할 필요가 있다.


자꾸 까먹으니까 그냥 기록을 해 두겠다.


$ sudo nano /private/etc/hosts


위와 같이 입력하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세지가 뜨게 되는데, 

이 경우 비밀번호는 현재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비밀번호이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여러가지가 이미 입력되어 있을것이다.


거기 맨 하단에 살며시 추가한다 

(당연히 #은 주석 처리이고, 이걸로 설정을 on/off  할 수도 있다.)


리눅스와 다르게 별도 입력할게 i 를 누를필욘 없고 바로 글쓰기 모드이니,

바로 작성한다.


아래 쪽에 보면 친절 하게 옵션 버튼이 있다.


Ctrl+O 를 누르고 저장을 하자.

그리고 Ctrl+X 를 누르고 창을 끄자.


그리고 핑을 날리자.


오 땡큐.

'기억할것들 >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설치  (0) 2018.12.13
High Sierra Telnet 설정하기  (0) 2017.12.26
MAC 에 Redis Desktop Manager 설치  (1) 2017.12.26

MSSQL. 많이 사용하고 있는 DBMS 이다.

MSSQL 을 사용하다 보면 서버 머신의 메모리가 엄청나게 꽉꽉차서 부담스러움을 느낄수가 있다.


왠가 관찰해보니,

MSSQL은 메모리를 점유한 뒤 사용하지 않아도 내주질 않더라.


최고의 방법은 MSSQL이 사용하는 메모리의 최대치를 제한해 버리는것이다

(적어도 OS 가 쓸만큼은 확보해주자...)



메모리 설정은 글랜베리 라는 분이 제안한 걸 참고로 해서 하면 좋다더라


 물리적 메모리 (GB)

SQL 셋팅값 (MB)

 2

1500

 4

3200

 6

4800

 8

6400

 12

10000

 16

13500

 24

21500

 32

29000

 48

44000

 64

60000

 72

68000 

 96

92000 

 128

 124000




1. MS SQL 이니 SSMS 를 실행하여 DBMS 에 접속한다. 그리고 서버 개체를 우클릭하고 속성을 누른다




2. 메모리 항목을 누르고, 최대 서버 메모리 부분을 위 표를 참고하여 조절한다.

    확인을 누른 후 SQL Server 서비스를 재시작 한다.



하고 나면,! 그래도 그나마 서버 메모리가 어느정도 확보가 된다.. 다행이지



'기억할것들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TimeZone 설정하기.  (0) 2018.12.18
mysql 설치순서  (0) 2018.08.13

이것도 언젠간 까먹겠지.

자주 쓸일이 없다. 지금은 몸이 기억할뿐....!


윈도우 설치 또는 리눅스 설치를 위한 부팅 USB를 만들기 위해서 나는

Ultra ISO를 이용한다. 트라이얼 버전이라도 프로그램을 실행할때 광고가 뜨는거 빼곤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먼저 Ultra ISO를 다운받으셔라. 

UltraISO_PE_9.3.6.2750_Retail.exe


그리고 설치하시고 실행을 하시면 광고가 뜨고 계속사용을 누르시면 된다.

그 다음 순서,

지금은 윈도우 부팅 USB 제작이 예시이다.


1. 파일 을 누르고 열기를 선택한다. 그리고 소지하고 있는 ISO 파일을 선택한다.




2. 로드한 파일이 부팅가능한 ISO 파일이라면 아래 이미지 영역이 부팅가능 UDF 라고 나온다.



3. 부팅 메뉴를 누르면 디스크 이미지 기록이 있다. 선택하자.



4. 그냥 뒤도 돌아보지 말고, 쓰기를 누르자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작업이 진행된다. 그럼 끝이다.



이지이지. 매우 쉬움!




tsmmc.msc : 원격 데스크탑 다중 사용 

mmc : 관리창 설정(Console) 

compmgmt.msc : 컴퓨터 관리 

eventvwr.msc : 이벤트로그 확인 

msinfo32 : 원격 컴퓨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구성 정보 

dsa.msc : Active Directory 사용자 컴퓨터 

azman.msc : 권한부여관리자 

certmgr.msc : 인증서 스냅인 

certsrv.msc : 인증서서비스(인증기관관리

certtmpl.msc : 인증서 템플릿 

ciadv.msc : 인덱싱서비스 

dcpol.msc : 도메인 컨트롤러 보안 설정 

devmgmt.msc : 장치관리자 

dfrg.msc : 디스크조각모음 

dfsgui.msc : 분산 파일 시스템 

dhcpmgmt.msc : DHCP관리자 

diskmgmt.msc : 디스크관리 

dnsmgmt.msc : DNS관리 

dormain.msc : Active Diretory 도메인 트러스트 

dompol.msc : 도메인 보안설정 

dssite.msc : Active Diretory 사이트 서비스 

fxsadmin.msc : 팩스 서버 관리자 

filesvr.msc : 파일 서버 관리자 

fsmgmt.msc : 공유폴더 

gpedit.msc : 그룹정책 편집기 

ias.msc : 인터넷 인증 서비스 

iis.msc : 인터넷 정보 서비스 (디렉토리가 달라 바로 실행 불가능

lusrmgr.msc : 로컬 사용자 그룹 

ntmsmgr.msc : 이동식 저장소 

ntmsoprq : 이동식 저장소 운영자 요청 

permon.msc : 성능모니터 

rrasmgmt.msc : 라우팅  원격 액세스 

rsop.msc : 정책 결과 집합 

secpol.msc : 로컬 보안 설정 

services.msc : 서비스 

tapimgmt.msc : 전화 통신 

tscc.msc : 터미널 서비스 

wmimgmt.msc : WMI 컨트롤 

regedit : 레지스트리 편집 

mstsc : 원격 데스크탑  

'기억할것들 > Windows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용 Rsync config  (8) 2017.12.11
윈도우 서버 원격 포트 변경  (0) 2017.12.11

맙소사.

High Sierra 로 오니 Telnet이 안되더라.


부랴부랴 급하게 되는 방법을 찾아봤다.

Homebrew 를 통해서 설치하는 방법을 찾았다.


(Homebrew가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만)


1
/usr/bin/ruby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cs



Homebrew가 설치 되었다면,



기다린다...기다린다...기다린다...완료가 되면


1
brew install telnet
cs


아. 드디어 텔넷이 된다. 

아름답다.

'기억할것들 >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설치  (0) 2018.12.13
MAC 에서 Host 설정 하기  (0) 2018.05.23
MAC 에 Redis Desktop Manager 설치  (1) 2017.12.26

Redis 를 사용하려다 보니 

Redis Desktop Manager 라는 것도 쓰면 편하다더라.


윈도우에서야 다운받아서 설치하면 땡이지만..맥은 역시... 찾다찾다 결국 설치하는 법도 찾았다.


1. 터미널을 실행시킨다

2. 아래의 명령어 입력

$ ruby -e "$(curl -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 /dev/null 2> /dev/null ; brew install caskroom/cask/brew-cask 2 > /dev/null


3. 위 과정이 끝나면

$ brew cask install rdm


4. application을 보면 rdm 이 생겼다. 방긋

'기억할것들 >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설치  (0) 2018.12.13
MAC 에서 Host 설정 하기  (0) 2018.05.23
High Sierra Telnet 설정하기  (0) 2017.12.26

서버용 : cwRsyncServer_4.1.0_Installer

클라이언트용 : cwRsync_4.0.5_Installer 
설치

1. 서버용 설치 후 Rsync 대상 폴더에 SvcCWRSYNC 계정의 읽기/쓰기 권한 부여
2. c:\program files\ICW\rsyncd.conf 파일 수정
(invaild error 발생 방지를 위해 uid =0 gid = 0 을 추가)
예제
[ERP_DB]
path = /cygdrive/e/DB_Backup
read only = true
uid = 0
gid = 0
transfer logging = yes

3. 서비스에서 RSYNC 서비스 자동시작 옵션 변경 및 서비스 시작

※ Rsync 서버에 설정해야 할 사항

1. 기본포트는 873 (방화벽 주의)

2. rsync 를 사용할 폴더에 SvcwRsync 계정의사용권한 부여

3. 사용 설정 파일 참고사항


   아래 파일을 수정한다.

   c:\Program Files\cwRsync\cwrsync.com

   


   @ECHO OFF

   cd bin

   rsync.exe -avz "/cygdrive/[드라이브 명 c or d 등]/[target 폴더]/" "SvcRsync@ServerIP::[서버에등록된 타겟폴더(ex:ERP_DB)]/"

'기억할것들 > Windows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솔 명령어 모음  (0) 2017.12.26
윈도우 서버 원격 포트 변경  (0) 2017.12.11

가장 쉬운 보안강화 방법중의 하나는 원격 접속 포트 주소를 변경하는 것이다.


윈도우 원격 포트 변경 방법을 적어놔야겠다.

점점 기억력이 안좋아진다.


1. 시작 - 실행 - regedit

2. 아래의 항목까지 찾아 들어가 숫자변경 (10진수 클릭하고 변경할것)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Server\WinStations\RDP-TCP\PortNumber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Server\Wds\rdpwd\Tds\tcp\PortNumber 


3. 방화벽 오픈하고 재시작

(원격지에서 변경시 방화벽 제대로 확인 안하면 뛰어가야 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음)

'기억할것들 > Windows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솔 명령어 모음  (0) 2017.12.26
윈도우 용 Rsync config  (8) 2017.12.11

영화 한편 인코딩해서 아이폰으로 보려는데,

다음팟인코더에서 더 이상 DTS 인코딩을 지원하지 않는단다.

심지어 지원하던 구버전으로도 더이상 지원을 안하더라.


그래서 찾아봤다. 오디오 형식을 아예 바꿀수없는지! 딱 나오더라.


무료로 변환해 주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사이트바로가기]

(용량첨부가능 용량 초과로 첨부는 안됩니다)


1. 프로그램 설치 후 실행한다.



2. 불러오기 아이콘을 클릭하고 영상을 불러온다. 그리고 다 로드할때까지 기다린다. (꽤 걸린듯...)




3. 변환이 끝나면 오디오를 바꿔줍니다



4. configure 를 누르고 음질 비트레이트는 대충 192정도로 한다


5. 영상 output 포멧도 바꿔도 상관없지면 원본과 같이 mkv로 했다.




6. 적당히 설정했으면 저장 버튼을 누르고 저장을 다시하도록 한다.

   파일명을 다시 써야 하는건 귀찮치만 그래도 지정을 안해주니 해야하는 불편한 현실..




확인결과 인코딩이 잘 됩니다.!!!

좀 번거로워도 이렇게 써야할듯 ㅠ




'본거.느낀거.생각한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캘린더 음력 반복등록  (0) 2018.08.14
부팅 USB 만들기  (0) 2017.12.27
블로그를 시작한 이유.  (0) 2017.04.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