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보니..부모님 생신, 제사 과 같은 행사들은 음력이더라.

음력이다 보니 매번 날짜가 바뀌어서 기억하기도 힘들고.... 매년 달력에 기록하자니 귀찮고..

특히 아이뻐 유저로서 더더더욱 힘들 수 밖에 없더라.


그래서 찾은게 구글에 음력 일정 릴레이 등록하는 기능


http://googlelunar.cpueblo.com/


위 사이트에서 가능하다.


위 사이트 접속 후 구글에 로그인 하고

내가 원하는 시작 음력 날짜와 끝 음력날짜만 설정하여 등록하면

주루루루룩 매년 스케쥴 등록이 된다.


와 진짜편함.! 강추

'본거.느낀거.생각한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팅 USB 만들기  (0) 2017.12.27
DTS 오디오 방식 인코딩 하기  (0) 2017.12.01
블로그를 시작한 이유.  (0) 2017.04.13

 

이 순서는 가장 마지막이어야 한다.

PHP 설치는 Apache, Mysql 이 설치된 이후에 하도록 한다.

 

1) Apache 설치방법

2) Mysql  설치방법

 

1. extension 에 사용할 파일들을 먼저 설치해 보자.

 

1
yum install bzip2-devel curl-devel gmp-devel libxslt-devel openldap-devel libicu-devel sqlite-devel oniguruma-devel
cs

 

2. libmcrypt 를 설치한다 [다운로드 바로가기]

 

1
2
$ ./configure --libdir=/lib64
$ make && make install
cs

 

3. libzip을 설치한다.

   굉장히 많은 시도를 해봤다.

    yum 으로 설치하면 0.10 버전이기 때문에 php7 설치가 안된다. 소스설치를 하면 1.5 버전이긴 하지만, 컴파일 및 메이크 시 에러가 많이난다.

    그래서 딱 맞는 0.11 버전 RPM 버전을 찾았다. centos7 64bit 용이다.

     

libzip-0.11.2.zip
다운로드

 

     위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서버로 보낸다.

 

1
2
$ rpm -ivh libzip-0.11.2-6.el7.psychotic.x86_64.rpm
$ rpm -ivh libzip-devel-0.11.2-6.el7.psychotic.x86_64.rpm
cs

 

   (libzip 최신 버전 설치법을 포스팅했다)

2019/07/02 - [Issue] - libzip 최신버전 설치하기

 

 

4. 사전준비는 끝났다. 이제 설치를 한다.

    PHP 소스파일을 다운받고 압축 푼 곳으로 이동하여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

 

1
./configure --prefix=/apps/php-7.2.8 --with-apxs2=/apps/httpd-2.4.34/bin/apxs --with-mysqli --with-zlib --with-zlib-dir=/usr --with-jpeg-dir=/usr --with-png-dir=/usr --with-freetype-dir=/usr --with-libxml-dir=/usr --with-gd --with-gettext --with-curl --with-bz2=/usr --with-gmp --with-iconv --with-mhash --with-xmlrpc --with-xsl --with-kerberos --with-openssl=/usr/local/openssl --with-openssl-dir=/usr/local/openssl --enable-pdo --enable-shmop --enable-soap --enable-sockets --enable-wddx --enable-ctype --enable-debug --enable-sockets --enable-calendar --enable-sysvsem=yes --enable-ftp --enable-inline-optimization --enable-bcmath --enable-exif --enable-mbstring --enable-json --enable-zip --with-libzip=/usr/lib64 --with-ldap=/usr/lib64 --with-ldap-sasl --with-pdo-mysql --enable-maintainer-zts
cs

 

 

 

    설치를 편하게 하는 컴파일 실행파일 을 올려두긴 하겠다.  

run.sh
다운로드

 

 

 

- ldap.h 관련 에러 발생 시

1
ln -/usr/include/ldap.h /usr/lib64/ldap.h
cs

 

 

- off_t undefined; check your library configuration 발생 시 

1
2
3
4
$ vim /etc/ld.so.conf
 
(맨 하단 줄에)
/usr/local/lib64
 
(wq로 종료 후)
$ ldconfig
cs

 

 

- collect2: ld returned 1 exit status 에러 발생 시

yum install libtool-ltdl-devel

 

'기억할것들 >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oracle 연동  (0) 2020.02.24
centos7 php-7 mssql 연결  (0) 2019.12.10
[CSS] 로 문자열 줄임 처리하기  (0) 2018.08.29
구글 영수증 검증  (0) 2018.07.25

2018.4월에 mysql 8 버전이 새로 나왔다.

이를 기념하여 mysql을 rpm으로 설치 를 해보도록 하겠다.


1. yum install openssl-devel perl-JSON


2. 먼저 mysql 홈페이지에서  풀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아마 .bundle 로 되어있을것이다.

   압축을 풀면 뭔가 많은 rpm 패키지 들이 있다.


$ rpm -ivh mysql-community-common-8.0.12-1.el7.x86_64.rpm
$ rpm -ivh mysql-community-libs-8.0.12-1.el7.x86_64.rpm
$ rpm -ivh mysql-community-libs-compat-8.0.12-1.el7.x86_64.rpm
$ rpm -ivh mysql-community-client-8.0.12-1.el7.x86_64.rpm
$ rpm -ivh mysql-community-devel-8.0.12-1.el7.x86_64.rpm
$ rpm -ivh mysql-community-embedded-compat-8.0.12-1.el7.x86_64.rpm
$ rpm -ivh mysql-community-minimal-debuginfo-8.0.12-1.el7.x86_64.rpm
$ rpm -ivh mysql-community-server-8.0.12-1.el7.x86_64.rpm


3. 위 순서를 다 진행했다면 mysql 서비스를 시작한다. 

$ service mysqld start


4. 서비스가 실행 되고 나면 root 패스워드를 확인해보자

$ vim /var/log/mysqld.log

   로그 내용을 잘 읽다보면, 2번째에 임시패스워드가 생성되어있다. 이걸 잘 기억할 수 있는곳에 일단 복사해둔다.


5. mysql conf 변경

   mysql 운영에 필요한 설정을 조금 해본다. 필요하면 사용하고 안필요하면 굳이 안해도 된다.

   (validate_password.policy 레벨이 높다면 매우 복잡한 패스워드 규칙을 따라 줘야 한다)


$ vim /etc/my.cnf

[mysqld]
port = 사용할 port 번호 (기본포트를 쓰려거든 삭제)
init_connect=SET NAMES utf8
character-set-server=utf8
collation-server=utf8_general_ci
default-storage-engine=InnoDB
validate_password.policy=LOW
log-bin-trust-function-creators=1

....제일 하단에 이어서...

[innoDB]
innodb_file_per_table=1

[client]
default-character-set=utf8
port = 사용할 port 번호 (기본포트를 쓰려거든 삭제)


6. 서비스를 재 실행 한다.

$ service mysqld restart


7. mysql 로그온 후 패스워드 변경 ( 4번에서 보관해 둔 임시패스워드를 사용한다)

$ mysql -u root -p

mysql> ALTER USER 'root'@'localhost' IDENTIFIED BY '123456';


이 정도면...mysql 은 사용가능해 진다.

'기억할것들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TimeZone 설정하기.  (0) 2018.12.18
MSSQL 메모리 누수 관리  (0) 2018.01.03

+ Recent posts